주제별 원어사전 구약 -"간구하다b"

  

간구하다b

ar;q;(7121, 카라)

부르다, 선포하다, 소환하다, 읽다

 

카라(동사)는 기본어근이며, '부르다, 선포하다, 소환하다, 읽다'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약 740회 나오며, , 니팔, 푸알형으로 사용되었다.

 

(a) 카라는 일차적으로 특별한 말 또는 메시지의 발설을 의미한다. 후자의 용법에 있어서는 이것이 보통 특정한 수령인에게 주어지며 특별한 응답을 유도해 내기 위한 의도가 담겨져 있다. 그러므로 이 어근은 '선포하다, 초대하다'로 번역되는 수가 있다. 드물지만 카라가 단순한 부르짖음을 의미할 때도 있다(: 147:9, 34:14).

 

(b) 카라는 '부르다'는 의미에서 '소환하다'를 나타낸다(12:18, 20:8-9, 22:5, 22:20, 22:37, 8:1, 삼상 3:5-6, 삼상 3:8 ).

 

(c) 카라는 '초대하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34:15, 14:15, 삼상 16:3, 삼상 16:5 ).

 

(d) 카라는 '이름의 명명'에 대해 사용되었다.

작명은 때로 이름 지어진 사물에 대한 주권의 주장이 된다. 하나님의 창조는 별들의 작명과 계수를 수반하였다(147:4). 그리고 어둠에 관한 작명(1:5), 참으로 모든 것에 대한 명명과 계수가 수반되었다(40:26). 하나님은 동물들을 아담에게 주어 그것들에 대한 그의 상대적 주권을 주장하게 하였다(2:19). 하나님은 주권적으로 고레스의 이름을 불렀다(여기에 임무를 위한 선택의 뜻이 내포되어 있음에 유의하라, 45:4). 때로는"명명"의 개념이 없을 경우라도 이 주권의 관념이 내포된다. 예컨대 하나님이 태초부터 만대를 불렀다는 표현 등이 그것이다(41:4, 한글개역: "명정[命定]하였다"; 참조: 5:8). 상기의 용례들에서 그 대상은 응답해야 한다.

 

(e) 카라는 많은 경우에, 주어진 이름이 명명된 그 사물의 주요 특성을 묘사하는데 사용되었다. 때로 여기에는 언어 유희가 포함된다(27:36). 그밖에 이러한 명명은 대상에 대한 고백 또는 개인적 가치 평가를 형성하고 있다(5:13, 60:14). 혹은 영원한 진리에 대한 인지를 함유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예언에 의해 약속되는아이가 "하나님에 의해", "임마누엘"이라 명명되는 경우이다(7:14). 하나님은 이스라엘에 대한 자기의 주권을 확언하였다(41:2). 그러나 그들을 또 다른 이름으로 불렀다(65:15, "은 찌꺼기", 6:30, 한글개역: "내어버린 은"). 33:19, 34:633:3에서 하나님의 이름을 반포한다는 것은 그의 속성에 대한 묘사와 주권적 행위에 대한 묘사를 내포한다.

 

(f) 카라는 '선포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34:5, 3:5, 3:9, 7:2, 왕상 21:9, 왕상 21:12, 36:9 ).

 

(g) 카라는 '읽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29:11, 34:16, 36:6, 36:8, 36:10, 36:13, 36:14, 36:15, 36:21, 36:23 ).

 

(h) 카라는 또한 특정한 직무에로 누군가를 부른다는 뜻을 내포하기도 한다. 바로의 딸의 시녀는 자기가 가서 유모를 "불러" 올 것인지 물었다(2:7). 가나안의 모든 주민들을 멸망시킨 것은, 우상숭배에로의 개인적 초대를 수락함으로써 거기에 말려들 수 있는 우호 관계의 온갖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었다(34:15).

 

(i) 카라의 가장 두드러진 용법은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는 것과 관계가 있다. 보통 그러한 문맥은 위급한 요구(34:6, 81:7)나 오랜 필요와 관련된다(: 가인이 아벨을 죽인 후 인간은 저주의 충분한 효과를 깨달았으며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기 시작했다, 4:26). 경건한 자들은 하나님을 계속 부름으로써 원죄의 존재를 인지하였다(12:8, 13:4, 116:2). 하나님은 이처럼 자신을 부르는 모든 자에게 응답하신다(145:8). 참으로 언약의 백성(이방인을 포함하여, 왕상 8:43)에게는 그와 같이 기도하라는 가르침이 주어지며,그들은 또한 하나님께서 저주를 역전시킬 것을 확신한다(55:6, 55:13). 그와 같이 하나님을 부르지 않으면 하나님의 진노를 받기에 합당하며(79:6) 그것이 정당하다(65:12). 말세에 하나님이 주권적으로 부르는 자들은 저주 받은 이방인들이라 할지라도 하나님의 백성이 될 것이며(55:5), 그들은 그에게로 달려갈 것이다. 그는 바벨을 역전시킬 것이고 하나님의 부름을 받은 자들은 모두 하나의 순수한 언어로 그를 섬길 것이다(3:9). 그들이 부르기 전에도 그는 응답할 것이다(65:24). 따라서 에덴이 복원되며 저주는 완전히 폐기된다. 그러한 약속을 받은 이스라엘이 여호와의 부름을 거부했다는 사실은 얼마나 슬픈 일인가(65:12). 구원은 진정 여호와께 속한 것이다.

(참조: L. J. COPPES; BDB).

 

 

[동의어] (관련성구)

aN:a;(577, 안나)

아아, 아 이제, 내가 당신께 구한다

 

안나(감탄사)'아아, 아 이제' ah now! '내가 당신께 구한다(탄원한다)'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12회 나온다(50:17, 32:31, 왕하 20:3, 1:5, 1:11, 116:4, 118:25, 38:3, 9:4, 1:14, 4:2).

(참조; C. L .Feinberg).

 

 

[동의어] (관련성구)

a[;B](1156, 베아)

구하다, 찾다

 

베아(동사, 아람어)는 히브리어 바아(h[;B; , 1158)에 해당하며 '묻다, ()구하다 ask, 찾다 seek'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12회 나오며, 페엘형과 파엘형으로 사용되었다.

 

1. 페엘형에서

(a) '찾다' (2:13, 6:4)

(b) '구하다, 요구하다'. 사람에 구하는 것(2:16, 2:49, 7:6), 하나님께 구하는 것(2:23), 신이나 사람에게 구하는 것(6:7, 6:12),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2:18, 6:11, 6:13).

 

2. 파엘형에서

'호소하다', 4:36.

(참조: BDB).

 

 

[동의어] (관련성구)

vr'D;(1875, 다라쉬)

자주가다, 찾다, 구하다, 문의하다, 노력하다

 

다라쉬(동사)는 기본어근이며, '자주 가다(드나들다), 찾다, 탐구하다, 탐사(조사)하다, 구하다, 요구하다, 문의하다, (~하려고)노력하다, 시도하다'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160회 이상 나오며, 칼형과 니팔형으로만 사용되었다.

다라쉬는 '조심하여 구하다'의 의미(인식의 의미)10:6에서 나오는데, 여기에서 모세는 속죄물에 어떤 것이 발생하였는가를 상세하게 발견하려고 추구하였으며, 삼하 11:3에서 다윗은 밧세바가 누구인가를 발견하려고 노력한다(23:6, 29:7). 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장소(12:5)와 공의(1:17, 16:5!)를 조심스럽게 구하도록 명령받았다. 종말에 예루살렘, 즉 어느 누구도 찾지 않는 장소(30:17)"찾은 바된" 장소가 될 것이다(62:12, 혹은 "권고하시는", 11:12). 메시야 왕을 찾는 자들은 이방인들이다(11:10). 그분의 안식 장소(10:33, 12:9)는 영광스러운 것이다.

다라쉬의 '염려하다, 돌보다'라는 의미는 앞에 언급한 내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시편 기자는 "내 영혼을 돌아보는 자도 없나이다"라고 반박하였다(142:4). 이스라엘은 잡혀간 도시의 안녕을 구하라는 명령을 받았다(29:7). 아마도 대상 15:13대하 1:5은 법궤와 놋제단을 "돌보는" 것에 대하여 언급하는 것 같다.

 

다른 신학적 주제는 4:29에서 발전되고 있는데(참조: 바카쉬), 여기에서 이스라엘은 미래의 변절에 대하여 경고받고 있으며 전심으로 경배할 것을 권고받고 있다(6:6, 22:37). 역대기 기자는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구하느냐(대하 22:19, 대하 28:9, 대하 31:21 ) 아니면 우상을 구하느냐에 의하여 이스라엘 역사를 평가하고 있다(대하 25:15). 이사야는 하나님의 징벌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이 하나님께 구하기를 거부하는 것을 알리고 있다(9:13, 참조: 10:21).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에게 옛적의 약속을 상기시키고 있다(55:6, 29:13, 10:12). 하나님께서는 그들이 계속하여 범죄하는 동안에도 그들에게 자신을 "찾으라"고 타이르시면서(58:2) 종말 때에 진실로 자신을 찾는 자들에게 축복하리라고 약속하신다(65:10). 흥미롭게도 하나님을 찾지 않던 자들도 하나님을 찾을 것이다(65:1, 11:10, 10:20).

하나님을 찾는다는 것은 또한 지식, 충고, 통찰력을 추구하여 어떤 특별한 문제에 관해 문의하는 것을 의미한다(25:22). 이러한 문의는 선지자 곧 하나님의 대변자를 통하여 이루어지거나(7:1, 18:15이하, 삼상 9:9, 21:2 ) 혹은 "제비뽑기"를 이용하는 제사장을 통하여 이루어진다(샤알, 17:9). 거짓 신의 말을 좇는 것은 간혹 복합적인 의식을 포함하였다(12:30, 대하 25:15(?), 삼하 11:3, 21:21).

이와 밀접히 관련된 것으로는 본 동사의 법적 사용인데 그것은 하나님의 권위 있는 "판단"에 문의함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재판을 구한다는 것이다(18:15, 17:4, 17:9, 참조: 18:5-20, 고전 6, 딤전 3).

 

끝으로 이 단어 어근은 생명을 취한 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복수에 대해 사용된다. 하나님께서는 부지런하게 생명에 대한 생명의 보상을 요구하실 것이다(9:5, 참조: 바카쉬). 최소한 한 실례에서 이러한 약속이 제기되며, 거룩하게 시행되었다(대하 24:22, 대하 24:24, 9:12, 10:4).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지 아니하는 목자는 자신을 이러한 하나님의 심판 선언 아래 두는 것이다(33:6). 하나님의 사자들(선지자)에게서 나온 모든 선포는 그것이 부연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이전의 계시와 일치되기만 하면 기적적으로 입증되든지 혹은 그렇지 않든지 간에 인간의 용인과 순종을 요구한다(18:22, 7:40, 3:22 이하). 궁극적으로 하나님께서는 공의와 자애 그리고 겸손한 자세를 요구하신다(6:8, 참조: 20:40).

(참조: Coppes; BDB).

 

 

[동의어] (관련성구)

[g'P;(6293, 파가)

만나다, 도달하다, 중재하다, 탄원하다.

 

파가(동사)는 기본어근이며, (a) '만나다, 마주치다', (b) '도달하다, 이르다', (c) '중재하다, 탄원하다'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46회 나오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

 

(a) 칼형에서

기본적 의미는 '만나다' to meet이다. 극소수의 용례를 제외하고는 파가가 전치사 베(~to, ~위에 upon)를 수반하며 신체적 접촉의 개념을 띤다. 동사의 기본 의미는 다음 구절들이 예시한다: 삼상 10:5, "네가... 선지자의 무리가... 내려오는 것을 '만날' 것이요"; 23:4, "네가 만일 네 원수의 길 잃은 당나귀를 '만나거든'". 그리고 32:1, 5:20, 35:19, 35:21, 5:19.

'만나다'는 의미에서 '도달하다, 이르다'. 땅의 한 지역이 다른 지역에 도달하는 것, 곧 경계를 이루는 것을 묘사한다(16:7, 17:10, 19:11, 19:22, 19:26, 19:27, 19:34). 여행 중에 있는 사람이 어떤 장소에 '이르는 것'을 나타낸다(28:11).

친절한 행위로 '만나다'(64:5, 47:8). 여기서 이 동사는 '협정하다' '평화의 조약을 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적대적으로 '만나다' '치다, 공격하다, 죽이다'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2:16, 8:21, 15:12, 18:25, 삼상 22:17, 삼상 22:18, 삼하 1:15, 왕상 2:25, 왕상 2:34, 왕상 2:46).

2:22"다른 밭에서 사람을 '만나지' 아니하는 것이"라는 구절에서는 아마 '죽이라'라는 의미보다는 사람들이 네게 '괴롭히다''지근거리다'라는 뜻으로 해석해야 될 것이다.

하나님에 대해(5:3). '중재하다, 탄원하다'는 의미의 '만나다'를 의미한다.

사람에 대한 중재(1:16, 23:8), 하나님에 대한 중재(7:16, 27:18, 21:15).

 

(b) 히필형에서

"중재하다" to intercede(53:12, 59:16, 15:11, 36:25),

"()지우다" lay, burden(53:6, "여호와께서 우리 무리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이다.

36:32b은 번역이 어렵다: "그는 번개 빛으로 그 두 손을 싸시고 그것을 명하사 푯대를 맞추게 하시나니". Pope"그는 '확실한 표적'을 가지고 그것(즉 번개)을 명하신다"(AB, Job, pp. 268, 276); Tur-Sinai"그리고 그는 그를 위해 고소인에게 명령한다"(Commentary on Job, pp. 506-7)로 번역한다.

(참조: BDB; Gesenius; V. P. Hamilton).

 

 

[동의어] (관련성구)

bh'r;(7292, 라하브)

난폭하게 행동하다, 거만 또는 대담하게 행동하다

 

라하브(동사)는 기본어근이며, '(폭풍처럼) 사납게(난폭하게) 행동하다, 거만(오만)하게 행동하다'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4회 나온다.

 

1. 칼형에서

3:5에서 '난폭하게 대들다'라는의미를 나타낸다: "백성이 서로 학대하며 각기 이웃을 잔해하며 아이가 노인에게, 비천한 자가 존귀한 자에게 교만할 것이며".

6:3에서 '괴롭히다, 끈덕지게 조르다, 성가시게 부탁하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아무개의 저당에서 해방되기 위해 모든 노력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내 아들아 네가 네 이웃의 손에 빠졌은즉 이같이 하라 너는 곧 가서 겸손히 네 이웃에게 간구하여 스스로 구원하되".

 

2. 히필형에서

6:5에서 '놀라게 하다, 두렵게 하다'를 의미한다: "네 눈이 나를 놀래니 돌이켜 나를 보지 말라 네 머리털은 길르앗산 기슭에 누운 염소떼 같고".

138:3에서 '득의 양양하게 하다''대담하게 하다'를 의미한다: "내가 간구하는 날에 주께서 응답하시고 내 영혼을 장려하여 강하게 하셨나이다".

(참조: BDB; TWOT).

 

[참고 - 이 동사는 구약성경에서 단지 4회만 나오며 어떤 것을 향해 혹은 대항하여 돌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라하브(bh'r; , 7292)의 기본적인 의미는 잠언에서 나온다. 6:3에서 KJV'네 친구에게 다짐하라' Make sure the friend(한글개역 "네 이웃에게 간구하여")라고 번역하는 어구는 문자적으로는 '그를 습격하다'이며, ASV'...에게 끈덕지게 조르다' importune라고 번역한다. 즉 모든 노력을 하다-이 경우에는 아무개의 저당에서 해방되기 위해 모든 노력을 하다(IB, IV, p.818)를 뜻한다. 이 단어는 광포한 태도 및 나아가 오만한 태도를 나타낸다. 아이가 '노인에게 교만할 것이다'(bh'r; , 7292, 3:5). 성경에 단 한번만 나오는 두 개의 단어가 있는데, 즉 로하브(bh;ro , 7296)와 라하브(bh;r; , 7295)이다. 전자는 일생에 있어서 근거가 없는 자랑(90:10)을 가리키며,후자는 거짓에로 돌이킨 거만한 사람을 가리킨다(40:5 [H4]). 다윗은 이 동사의 사역형 어간을 사용하여 기도에 응답해 주시는 하나님께서 그를 '강하게 하셨다'고 말한다(138:3, RSV 난외주는 '교만하게 하다'). 또한 솔로몬은 술람미 여인의 눈이 어떻게 그를 '정복하는'지를 외친다(6:5). 여기에서 '정복하다'를 의미하는 이 단어를 문자 그대로 번역하면 '두렵게하다 혹은 혼란시키다'이다(한글개역 "나를 놀래니") (KB, p.876). - J. B. Payne.] (p.1319*).

 

 

[동의어] (관련성구)

@Wnj}T'(8469, 타하눈)

(은혜를 위한) 탄원(간청)이나 기도

 

타하눈(명남)은 하난(@n"j; , 2603: 호의, 은혜를 베풀다)에서 유래했으며, (은혜를 위한) 탄원이나 기도 supplication(for favour)'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18회 나오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

(a) 사람에게 간청, 가난한 자가 부자에게 간청하는 것(18:23), 악어가 사람에게 간청하는 것(41:3)을 묘사한다.

(b) 하나님께 기도(143:1, 9:3, 9:17, 대하 6:21), 탄원의 소리(28:2, 28:6, 31:23,86:6, 130:2, 140:6, 116:2), 그리고 31:9, 3:22, 12:10, 9:18, 9:23.

(참조: B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