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는 베줄
lb,j,(2256, 헤벨)
끈, 줄, 영토, 무리, 부분
1. 헤벨(명남)은 하발(lb'j; , 2254: 묶다, 서약하다)에서 유래했으며, '끈, 줄 cord, 영토, 지역(방) territory, 무리 band'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약 50회 나온다.
(a) 헤벨은 기본적으로 '끈', 혹은 '줄'이란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것은 정탐꾼들을 창문 밖으로 달아내리우는데(수 2:15), 예레미야를 구덩이로 달아내리웠다가 다시 끌어 올리는데(렘 38:6), 성읍을 황폐케 하는데(삼하 17:13), 혹은 배의 돛을 튼튼하게 하고 돛을 안전하게 하는데(따라서 "꽉 조임" tackling, 사 33:23) 사용된 강하고 유용한 종류의 줄 rop이다. 이것은 또한 장식적인 가는 베 줄(에 1:6)이나 애곡의 표시로 머리에 사용한 줄("테두리" 왕상 20:31)을 가리키기도 한다.
헤벨은 비유적으로 악한 자를 위한 올가미나 덫에 대해 사용되었으며(욥 18:10), 이 올가미는 악한 자가 놓기도 한다(시 140:5). 시 119:61에서 "악인의 줄", 잠 5:22에서 죄의 줄, 사 5:18에서 죄악을 끄는 줄(거짓)을 언급한다.
욥 36:8에서 "환난의 줄", 시 116:3에서 "사망의 줄", 시 18:6, 삼하 22:6에서 "음부의 줄"을 언급한다.
[참조 - 헤벨은 포로 혹은 복종의 상징이며(왕상 20:31 이하), 비유적으로 악한 자들을 위한 올가미(욥 18:18, 잠 5:22, 죄의 노예) 혹은 악한 자들이 놓은 올무와 줄에 대하여 사용되고 있다(시 140:5, 시 119:61). 시편기자는 하나님의 구원을 받기 전의 그의 상황을 죽음의 줄에 묶여 있었던 상태로 묘사한다(시 18:5, 시 116:3)].
다른 비유적 용법으로는 생명의 줄인 "은줄"(전 12:6), "사람의 줄로" 즉 "동정적으로"(호 11:4)에 대해 사용되었다.
(b) 헤벨은 '측량, 줄, 선'에 대해 사용되었다.
줄은 다윗이 두 줄의 길이의 모압인을 죽이고 한 줄의 길이의 사람들은 살리는데 측량한 것처럼 측량하는데 사용되기도 하였다(삼하 8:2). 특별히 측량줄은 헤벨 미드다이다(슥 2:1). 땅은 줄(line)로 측량되거나 혹은 분할 되어진다(암 7:17, 시 78:55).
(c) 이 의미에서 헤벨은 측량된 지역 즉 한 부분(portion) 혹은 몫(우연이 얻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몫), 특히 한 부족의 유업(수 17:15 이하) 혹은 개인의 유업(시 105:11)을 의미하게 되었다.
(d) 헤벨은 '영토' 혹은 '지방'을 의미한다(신 3:4 이하). 그 지방이 바다에 가까운 경우, 이 단어는 '해변' coast으로 번역된다(습 2:5, 습 2:6, 습 2:7). 흠정역은 수 19:29에서도 역시 '해안' coast으로 번역하고 있으나 미국표준성경은 '물가', '변두리' margin로 개역표준성경은 이 단어를 고유명사로 취한다.
(e) 헤벨은 '무리, 떼'에 대해 사용되었다. 삼상 10:5, 삼상 10:10에서 선지자의 '무리'를 묘사한다.
2. 헤벨(명남)은 하발(lb'j; , 2254: 묶다, 얽매이다)에서 유래했으며, '고통, 아픔, 비통'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9회 나온다.
헤벨은 '진통, 산고'에 대해 사용되었다.
① 실제적 의미로 해산의 고통(짐승)(욥 39:3).
② 유수의 비통(사 26:17, 사 13:8, 렘 13:21, 렘 22:23, 렘 49:24), 구속의 위기의 고통(호 13:13), 새 이스라엘의 탄생의 고통(사 66:7).
③ 하나님이 악인에게 주는 고통(욥 21:17).
3. 헤벨(명남)은 하발(lb'j; , 2254: 파괴하다)에서 유래했으며, '파괴, 파멸'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미 2:10에서 1회 나온다: "이것이 너희의 쉴 곳이 아니니 일어나 떠날찌어다 이는 그것이 이미 더러워졌음이라 그런즉 반드시 멸하리니 그 멸망이 크리라".
(참조: C. P. WEBER; B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