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원어사전 구약 - "가나안 사람

  

가나안 사람

ynI['n"K](3669, 케나아니)

가나안 후손, 가나안 사람들

 

케나아니는 케나안(@['n"K] , 3667)에서 유래했으며, '가나안 후손, 가나안 사람들(족속)'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73회 나온다.

 

(a) 케나아니는 가나인인의 선조들 혹은 가나안의 거민들을 묘사한다.

시므온의 후손 중에 한 사람은 그 어머니가 가나안 사람이었으며(참조: 46:10=6:15), 이것은 이스라엘 민족을 인종적으로 '순수한' 인종으로 남아 있지 못하게 하였던 종족간 결혼(intermarriage)의 한 실례이다.

정복 전에 팔레스틴 지역에 거주했던 자들은 가나안인으로 알려져 있다(12:6). 가나안 족속의 멸망은 하나님의 지시에 의한 것이었으며, 그들은 이스라엘 민족에 의하여 쫓겨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5:1, 11:3, 13:4).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 온전히 순종하지 못한 것은 가나안 족속이 이스라엘 가운데 계속하여 살았다는 것을 뜻한다(16:10, 1:27-33). 가나안 족속의 관습은 성경(23:23-24), 1929년 이래 고대 우가릿(Ugarit)에서 발견된 문헌에서 명백하게 밝혀지듯이, 비도덕적이었다. 그들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족장 시대에 표현되었다(24:3, 28:8). 따라서 이스라엘은 가나안인들의 우상을 때려 부수고 그들과 언약을 세우지 말며(34:11-16), 가나안인들이 이스라엘 민족의 순수한 종교를 타락시키지 않도록 그들을 멸하라는 지시를 받았다(7:1-5이하, 20:17-18). 사실상, 이스라엘 민족은 연약함이나 오도된 자비 혹은 어떤 다른 이유로 말미암아 가나안인들을 멸망시키지 못했다. 이스라엘 민족은 자신들의 무고한 자녀들을 희생시키는 매우 나쁜 수확을 거두어 들였다(106:35-38). 올브라이트(Albright)는 고고학적인 증거가 히브리인들의 정복 이전에 가나안인들의 도덕적 타락에 대한 증거를 뒷받침한다고 말한다(FSAC, pp. 231-5, 281). 평원에 살았던 가나안인들은 산악지대에 살았던 아모리인들과는 구분되었다(13:29, 5:1). 어떤 자들의 견해는 가나안인들이 도시화된 아모리인들이라고 주장한다(Kenyon).

 

(b) 일반적으로 케나아니는 집단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나 경우에 따라서 한 개인을 언급할 수 있다(21:1, 33:40, 46:10, 6:15).

 

(c) 또한 케나아니는 '상인'을 의미할 수 있다(14:21, 31:24). 14:21에서 ASV'가나안인들', RSV'상인'으로 번역하고 있는데, 그 문맥에서 고대의 번역은 '상인'이라는 의미를 지지한다(한글개역 성경은 '가나안 사람'으로 번역). 이는 장차 오는 시대는 그릇과 항아리의 성물이 성전에서의 교환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J. N. Oswalt)

 

 

[동의어] (관련성구)

@['n"K](3667, 케나안)

가나안 Canaan

 

케나안은 사람과 지역의 명칭이며, 가나안으로 번역되었다.

 

1. 인명. (a) 가나안은 함의 아들 중의 하나로 제일 먼저 9:18에 나온다. 그는 시돈과 헷의 아비이며, 여부스 족속과 아모리 족속을 포함하여 아홉 족속의 조상이다(대상 1:13). 가나안의 운명이 그 형제들의 종이 되기를 원한다는 저주(9:25, 9:27)는 나중에 여호수아와 다윗의 왕조 때에 가나안 민족이 이스라엘 민족에 정복당한다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b) "가나안 거민"(15:15) 혹은 "가나안 열왕"(5:19)과 같은 그러한 표현에서 한 지역의 집단이 고려된다. 19:18"가나안 방언"은 다른 방언이 있긴 하였으나 히브리어였다.

 

2. 지명. 가나안은 팔레스틴의 고대 명칭의 하나이며, 이스라엘이 침입하기 이전 가나안 사람의 땅이었다(13:29, 11:3). 가나안이란 이름은 앞에 언급한 조상 가나안으로부터 유래되었거나 혹은 10:15에서 발음상 노아의 손자 이름과 동일한 "가나안"에 대한 말 기교로 여겨진다. 스페이서(Speiser)"가나안"이란 단어를 누지(Nuzi)에서 발견되는 자주색 물감을 뜻하는 말에서 그 유래를 찾는다. 페니키아를 뜻하는 헬라어 단어 포이닉스(phoinix)는 자주색을 의미한다. 그러나 나중에 연구한 결과, 그렇지 않다는 것을알게 되었다. 마이슬러(Maisler)와 울브라이트(Albright)는 이 단어의 원래 의미가 "자주 상인"이라고 주장한다. 밀라드(Millard)는 랜즈버거(Landsberger)에 동조하여, 자주색에서의 유래는 불가능하며, 완전히 보증할만한 기원을 제시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가나안은 2세기 동안 애굽 행정구역으로서 팔레스틴과 남쪽 수리아를 포함하였다. 성경에 의하면 가나안은 요단강 서쪽 지역에 위치하였으며, 요단강 동쪽 지역에서는 분리되었다(32:29-33, 35:14, 22:32). 가나안의 영역은 성경에서 다양하게 묘사되나 남쪽 신(2:3)에서부터 북쪽 레보-하마트(Lebo-hamath)의 레호브(Rehob)까지 포함하여 거의 300여마일에 이른다. 라스-샤므라(Ras-Shamra)에서 발굴된 유물로 알 수 있듯이 가나안의 문화는 실제적으로 시리아의 해안을 따라 저 멀리 북쪽으로 하메트(Hamath)까지 이른다. 가나안 땅의서쪽 경계는 지중해 연안이며 동쪽 경계는 요단강이다(13:2, 13:17-33, 34:2-12, 참조: 10:19). 이스라엘의 초기 역사에 의하면 가나안 족속은 연안지역과 평원에서 거주하였으며, 아모리 족속은 산지에서 거주하였다(13:19, 5:1, 11:3, 1:27 이하).

가나안은 거주하는 땅이었다(16:35, 참조: 5:12). 족장들은 거기에 살았다(31:18, 37:1). "가나안 땅""젖과 꿀이 흐르는 땅"(3:8, 13:5)으로 묘사되었다. 이러한 표현은 비옥하고 풍성한 땅을 의미한다. 가나안 땅에는 헤브론(23:2, 23:19), 세겜(33:18), 루스(혹은 벧엘, 35:6), 마므레(49:30), 실로(21:2)라는 성읍이 위치하였다. 한번은 가나안이 "블레셋 사람의 땅"으로 언급되었다(2:5).

몇몇 성경 구절은 가나안에 대하여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다. 이삭은 야곱에게 가나안인들의 딸을 아내로 취하지 말라고 충고하였다(28:1, 28:6, 참조: 36:15). 또한 이스라엘 민족은 "가나안 땅의 풍속과 규례도 행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18:3). 그러나 그 후의 성경 기자는 이스라엘이 불순종하여 "가나안 우상에게 제사하였다"고 불만을 토로했다(106:38).

가나안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에게 주신 땅이다(13:2). 이미 이곳은 아브라함과 그 자손에게 줄 것이라고 약속된 땅이었다(12:7, 6:4, 25:38).

출애굽 후에 모세의 후계자 여호수아의 인도로 이스라엘 백성이 그 약속의 땅을 차지했다. 이 땅은 12지파에 분배되었으며, 후에도 가나안 사람은 오랫동안 이스라엘 사람 사이에 살며 분쟁을 일으켰다.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 땅, 즉 풍요의 땅에 거하게 된 것이나 이 땅으로 포로기 이후에 되돌아온 것은 하나님 뜻의 일부이다. 하나님께서는 백성에게 유익하시기를 원하신다. 가나안은 이스라엘 민족에게 소유지(14:34, 32:49)로 그리고 거주지(대상 16:18 = 105:11)로 주어졌다. 많은 사람들은 흩어진 유대의 남은 자들이 모두 이새의 메시야적 그루터기의 지배하에 조상의 땅으로 다시 모이게 된다고 말하는 것으로 11:10-12을 해석한다.

(참조: TWOT).

 

[참고 - 케나안(@['n"K] , 3667)은 사람 혹은 지역의 명칭이다. 이 단어의 90회의 용례 중에 대부분은 모세 오경(창세기에서 39)에서 쓰인다. "가나안 땅"이라는 표현은 62회 나타난다.

가나안은 함의 아들 중의 하나로 제일 먼저 9:18에 나타난다. 그는 시돈과 헷의 아비가 되며 여부스 족속과 아모리 족속을 포함하여 아홉 족속의 조상으로 기록되어 있다(대상 1:13). 가나안의 운명이 그 형제들의 종이 되기를 원한다는 저주(9:25, 27)는 나중에 여호수아와 다윗의 왕조 때에 가나안 민족이 이스라엘 민족에 정복당한다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 땅의 이름은 이 조상으로부터 유래되었거나 혹은 10:15에서 발음상노아의 손자 이름과 동일한 "가나안"에 대한 말 기교로 여겨진다. 스페이서(Speiser)"가나안"이란 단어를 누지(Nuzi)에서 발견되는 자주색 물감을 뜻하는 말에서 그 유래를 찾는다(페니키아를 뜻하는 헬라어 단어 포이닉스(phoinix)는 자주색을 의미한다). 그러나 나중에 연구한 결과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이슬러(Maisler)올브라이트(Albright)는 이 단어의 원래 의미가 "자주 상인"이라고 주장한다. 밀라드(Millard)는 랜즈버거(Landsberger)에 동조하여, 자주색에서의 유래는 불가능하며 오나전히 보증할만한 기원을 제시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언급들에 대하여 참고도서를 참조하라.

 

"가나안 거민"(15:15) 혹은 "가나안 열왕"(5:19)과 같은 그러한 표현에서 한 지역의 집단이 고련된다. 19:18"가나안 방언"은 다른 방언이 있긴 하였으나 히브리어였다. 가나안은 2세기 동안 애굽 행정 구역으로서 팔레스틴과 남쪽 수리아를 포함하였다. 성경에 의하면 가나안은 요단강 서쪽 지역에 위치하였으며 요단강 동쪽 지역에서는 분리되었다(32:29-33, 35:14, 22:32). 가나안의 영역은 성경에서 다양하게 묘사되나 이 땅은 남쪽 신(2:3)에서부터 북쪽 레보-하마트(Lebo-hamath)의 레호브(Rehob)까지 ㅍ함하여 거의 300여마일에 이르며, 라스-샤므라(Ras-Shamra)에서 발굴된 유물로 알 수 있듯이 가나안의 문화는 실제적으로 시리아의 해안을 따라 저멀리 북쪽으로 하메트(Hamath)까지 이른다. 가나안 땅의 서쪽 경계는 지중해 연안이며 동쪽 경계는 요단강이다(13:2, 13:17-33), 34:2-12, 참조, 10:19). 좀 더 축약하여 말하자면, 가나안의 땅은 연안의 좁고 긴 땅, 특히 페니키아로 알려진 북쪽 지역을 가리킨다(13:29, 5:1). 이스라엘의 초기 역사에 의하면 가나안 족속은 연안 지역과 평원에서 거주하였으며 아모리 족속은 산지에서 거주하였다(13:19, 5:1, 11:3, 1:27이하).

 

가나안은 거주하는 땅이었다(16:35, 참조, 5:12). 족장들은거기에 살았다(31:18, 37:1). "가나안 땅"으로 언급될 때 그 지역은 "젖과 꿀이 흐르는 땅"(3:8, 13:5)으로 묘사되는데, 이러한 표현은 비옥하고 풍성한 땅을 의미한다. 가나안 땅에는 헤브론(23:2, 19), 세겜(33:18), 루스(혹은 벧엘, 35:6), 마므레(49:30), 실로(21:2)라는 성읍이 위치하였다. 한번은 가나안이 "블레셋 사람의 땅"으로 언급된다(2:5).

 

몇몇 성경 구절은 가나안에 대하여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다. 이삭은 야곱에게 가나안인들의 딸을 아내로 취하지 말라고 충고하였다(28:1, 6, 참조, 36:15). 또한 이스라엘 민족은 다음과 같이 지시받았다. "가나안 땅의 풍속과 규례도 행하지 말고"(18:3). 그러나 그 후의 성경 기자는 이스라엘이 불순종하여 "가나안 우상에게 제사하였다"고 불만을 토로했다(106:38).

 

가나안의 땅은 "그들(족장들)의 우거하는 땅"이자, 하나님의 선물인 땅으로서의 신학적인 성격을 띤다. 가나안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에게 주신 땅이다(13:2).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내가 너와 네 후손에게 너의 우거하는 이 땅 곧 가나안 일경으로 주어 영원한 기업이 되게 하고"(17:8). 아브라함에게 하신 약속은 출애굽기 5:28-6:8에서 언급되며, 이는 모세의 질무에 대하여 응답하신 것으로 이스라엘 민족에게 의도하신 하나님의 뜻을 요약하는 의미심장한 구절이다.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 땅, 즉 풍요의 땅에 거하게된 것이나 이 땅으로 포로기 이후에 되돌아온 것은 하나님의 뜻의 일부이다. 하나님께서는 백성에게 유익하기를 원하신다. 가나안은 이스라엘 민족에게 소유지(14:34, 32:49)로 그리고 거주지(대상 16:18=105:11)로 주어졌다. 많은 사람들은 흩어진 유대의 남은 자들이 모두 이새의 메시야적 그루터기의 지배하에 조사의 땅으로 다시 모이게 된다고 말하는 것으로 11:10-12을 해석한다. - G. L. Archer.] (p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