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원어사전 구약 -"갇힌 자 갇히다"

  

갇힌 자 갇히다

rySia"(616, 앗시르)

죄수, 포로

 

앗시르(명남)는 아사르(rs'a: , 631: 묶다, 속박하다, 투옥하다)에서 유래했으며 '노예, 죄수, 포로'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3회 나오며 모두 이사야의 예언에 나타난다.

 

(a) 이사야는 이스라엘이 지은 죄의 항목 목록을 제시하면서, 앗수르가 하나님의 대리자가 되어 이스라엘에 진노하실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그 결과는 투옥과 죽음일 것이다(10:4).

 

(b) 유명한 묵시 부분(24-27)에서 이사야는 지상의 왕들과 지도자에게 내릴 하나님의 대격변적 재해를 예견하였다. 그들은 포로로서 구덩이 속으로 모여들 것이며, 거기에 감금되어 있다가, 후에 최후의 진노로 처벌 받게 될 것이다(24:22).

 

(c) 종의 노래 첫 부분에서, 이사야는 메시야께서 사탄의 포로들을 해방하실 것이라고 예언한다. 이것은 메시야의 구속적 은혜에 대한 상징적 언명이다(42:7).

(참조: C. L. Feinberg; HELOT).

 

[참고 - 앗시르(rySia" , 616). 죄수들 prisoners(대체로 집합어로 나옴). KJV, ASV 그리고 RSV는 똑같이 '죄수들' prisoners로 번역하는데, 6:24은 예외이다. 이 구절에서는 한결같이 '앗실' Assir로 번역한다.

이 어근의 개념은 우가릿어에서 발견된다. 구약성경에는 이 어근이 3회 나오는데, 모두 이사야의 예언가운데 나온다(10:4, 24:22, 42:7). 6:24, 대상 6:22[ H 7] 그리고 대상 6:37[H 22]에서는 이 단어가 고유 명사 '앗실' Assir로 나온다. 어떤 사람들은 대상 3:17에 나오는 앗시르란 말이 여고냐의 장자를 일컫는다고 생각하였다. 다른 학자들은 이 말을 '(포로) 여고냐'로 번역하는 데, 이 번역이 문맥에 더 잘 어울리는 것같다. 구약성경은 애굽, 앗수르, 유대, 바벨론 그리고 블레셋의 포로들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솔로몬은 시므이 벤 게라(Shimei ben Gera)를 예루살렘 도시에 감금하였다(왕상 2:36-37).

원한없이 우연히 사람을 죽인, 즉 살인에 대하여 법적으로 무죄한 살인자에게는 도피성이 제공되었다(35). 이사야는 이스라엘이 지은 죄의 항목 목록을 제시하면서, 앗수르가 하나님의 대리자가 되어 이스라엘에 진노하실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그 결과는 투옥과 죽음일 것이다(10:4). 유명한 묵시 부분(24- 27)에서 이사야는 지상의 왕들과 지도자에게 내릴 하나님의 대격변적 재해를 예견하였다. 그들은 포로로서 구덩이 속으로 모여들 것이며, 거기에 감금되어 있다가, 후에 최후의 진노로 처벌 받게될 것이다(24:22). 종의 노래 첫 부분에서, 이사야는 메시야께서 사탄의 포로들을 해방하실 것이라고 예언한다. 이것은 메시야의 구속적 은혜에 대한 상징적 언명이다(42:7). 앗실은(6:24, 대상 6:22[H 7], 대상6:37[H 22]) 고라의 아들이었고 에비아삽의 아들로도 불려졌다. 그의 이름은 증조부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대상 6:23). - C.L.Feinberg.]

 

 

[동의어] (관련성구)

rysia:(615, 아시르)

노예, 죄수, 포로

 

아시르(명남)는 아사르(rs'a: , 631: 묶다, 속박하다, 투옥하다)에서 유래했으며 '노예, 죄수, 포로'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14회 사용되었는데, 그 중 2회는 난외주로 나온다(39:20, 39:22). 서방의 투옥 개념들과는 반대로, 고대의 법은 투옥을 형벌로 정하지는 않았다. 감옥은 어떤 사건을 더욱 조사하고 협의하기까지 잠정적으로 가둬두는 곳으로 이용되었다. 가둬두는 곳은 각기 달랐다. 개인 집(참조: 37:15), 지하 토굴(참조: 37:16), 시위대 뜰(참조: 32:2)이 감옥으로 이용되었고, 또한 물 탱크도 감옥으로 이용되었던 것 같다(참조: 38:6). 39:20, 39:22에서, 잘못을 지은 사람으로 고소 당한 요셉은 바로의 최고 관리에 속하는 두 사람과 함께 수감되었다. 하나님의 통치에 의해, 요셉은 이런 상황에서부터 바로에 버금가는 지위에 오르게 되었다. 사사인 삼손은 원수들, 곧 블레셋인들에 의해 수감되어, 그들에 대한 그의 성공적인 군사 행동으로 인하여 복수를 당했다(16:21, 16:25). 이사야는 땅의 무리들을 투옥한 바벨론 왕의 행동을 묘사할 때 이 개념을 비유적으로 사용했다(14:17). 포로기 이후의 스가랴의 예언은 포로 생활을 소망을 가진 해방된 죄수들에 비유하고 있다(9:11). 흥미있는 것은 이 단어가 고독한 자(68:6); 가난하거나 궁핍한 자(69:33); 죽이기로 정해진 자(102:20); 흑암과 깊은 어둠에 거하는 자(107:10)라는 말들과 병행되어 나온다는 점이다.

(참조: C. L. Feinberg; HE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