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원어사전 구약 -"간권하다"

  

간권하다

qz"j;(2388, 하자크)

강하다, 견고하다, 강화하다

 

하자크(동사)는 기본어근이며, '(하게)하다, 견고하(게 하), 강화하다, 튼튼하게 하다'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약 300회 나온다.

 

(a) 칼형은 82회 사용되며, '강하다' be strong 혹은 '강하게 되다' become strong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이 단어는 그렇게 번역될 수 있으나 가끔 여러 가지 문맥은 다양한 번역을 조장하거나 혹은 필요로 하고 있다. 매우 흔하게 이 단어는 '전쟁에서의 힘'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왕상 20:23). 전투에서 강하라(담대하라)는 권고는 단순히 굳건한 용기를 가지라는 권고일 수 있다(또한 삼하 10:12에서도 그렇게 번역되었음).

41:56'강한' 소문은 기근을 언급하는데서 '혹독한' severe(RSV; KJVASV'격심한' sore)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전쟁은 "혹독할" severe 수 있다(왕하 3:26). 문맥에서 '보다 강하다' to be stronger than는 것은 다윗의 말이 요압을 '재촉하였으며' prevailed(삼하 24:4), 다윗이 블레셋인(삼상 17:50), 요담이 암몬인들(대하 27:5)을 이긴 것 같이 '우세하다' prevail를 의미하고 있다. 바로의 마음에 대해 사용되었을 때 이 단어의 의미는 '강퍅하다' harden이다(7:13 이하).

[바로의 마음의 강퍅함에 대한 문제는 진부한 것으로서, 언어학상의 문제라기 보다는 신학상의 문제이다. 동사 하자크는 그 기사에서 12회 사용되고 있는데(4-14) 대부분 집행자이신 하나님과 함께 사용되고 있으나 4회는 수동적 혹은 정적인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다("바로의 마음은 강퍅하여졌다"). 또한 동사 카베드는 5회 사용되는데 행위자로서 하나님과 행위자로서 바로와 함께 수동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동사 카사는 행위자로서의 하나님과 더불어 한번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이 단어와 상기한 단어들의 용법에서 분별할 수 있는 차이점은 없다. 바로가 처음부터 회개하지 않은 죄인이었다는(5) 것은 명백하다. 이 단어는 아마도 그러한 것을 충분히 지적할 수 있는 것 같으며 완고한 죄인들에게 하나님의 강퍅하게 하심의 모든 것이 사법적인 것이라는 것을 표하며 하나님의 구원하심이 더욱 기억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또한 그러한 것은 역시 하나님의 계획에있었다(9:16). 그러나 바로가 임의로 죄를 지었으며 따라서 두려운 범죄자였다는 것은 납득이 안가는 사실이다(참조: 4:25-28). R. L. H.]

결과로서 생기는 다른 의미는 '확신하다' be sure(12:23), '확고부동하다' be steadfast(23:6, RSV), '걸리다' catch hold(삼하 18:9, 압살롬의 머리가 상수리 나무에; 이 단어의 사역적 의미는 히필형에서 일반적 용법이 되고 있다), '회복하다' recover(39:1, 히스기야가 병으로부터), '완강한' stout(하나님을 대항한 사람들의 말, 3:13)이다.

이 동사의 칼형은 피엘형의 '튼튼하게 하다' strengthen라는 의미에서 2회 사용되고 있다(대하 28:20, 28:22).

 

(b) 피엘 어간의(64회 사용됨) 기본 의미는 칼형의 사역적 의미와 같다. '강하게 하다' make strong, '튼튼하게 하다' strengthen이다. 칼형과 마찬가지로 피엘형도 가끔 전쟁 혹은 전투의 문맥에서 사용되고 있다. 때때로 이 동사의 목적어는 개인의 손 혹은 팔이다. '손을 강건하게 하다'라는 것은 '돕다' to aid(1:6) 혹은 더욱 흔하게 '격려하다' to encourage(삼상 23:16)를 의미하고 있다. 격려받는 사람이 이 동사의 목적어가 될 수 있다(삼하 11:25, 41:7). '강건하게 하다'는 단순히 '돕다' help로 번역될 수 있다(대하 29:34).

피엘형은 '수선하다' repair라는 의미에서 16회 사용되고 있다(왕하 12:5 이하). 칼형에서처럼 이 동사의 목적어가 마음일 때(10) 이 동사는 '강퍅케 하다' harden로 번역되고 있다(4:21 이하). 이 단어는 못과 더불어 '단단히 하다'(박다) fasten(혹은 '지지하다' support)라는 의미에서 2회 사용되고 있다(41:7, 10:4).

 

(c) 히필형은 종종(63) '붙들다' take hold, '붙잡다' grasp, '꽉쥐다' seize를 의미하고 있다. 이 단어는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는 것을 언급하여 '수리하다' repair라는 의미로 느헤미야서에서 34회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 용법들이 다양하게 있는데 다음과 같다: '우세하다' prevail(11:7), '지원하다' support(23:35), '받다' receive(대하 4:5), '보유하다' retain(7:8), '강요하다' constrain 혹은 '강권하다'(왕하 4:8), '굳게하다' confirm(11:1), '강건하게 하다' strengthen(삼하 11:25), '조력하다' aid, : '손을 강건하게 하다' strengthen the hand(16:49), '합세하다' join(10:29), '지탱하다' hold(5:16).

 

(d) 히트파엘형(27회 사용됨)은 다양한 방법으로 번역하고 있으나 대체로 칼 어간의 용법의 재귀적 용법이다: : '자신을 강건하게 하다' strengthen oneself, '자신을 격려하다' encourage oneself.

(참조: C. P. We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