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사
hY;mir](7423, 레미야)
느슨함, 태만, 속임, 사기, 반역
레미야(명여)는 라마(hm;r; , 7411)에서 유래했으며, (a) '느슨함, 해이(된 상태), 태만, 나태', (b) '속임, 사기, 배반, 변절, 반역'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15회 나온다.
(a) 레미야는 '느슨함, 해이, 태만, 나태'란 의미로 사용되었다(렘 48:10, 호 7:16, 시 78:57, 잠 10:4, 잠 12:24, 잠 12:27, 잠 19:15).
(b) 레미야는 '속임, 사기, 배반, 반역'에 대해 사용되었다(욥 13:7, 욥 27:4, 시 32:2, 시 52:4, 시 101:7, 호 7:16, 시 78:57, 미 6:12, 시 120:2-3).
(참조: BDB; Gesenius).
[참고 - 레미야(hY;mir] , 7423). 느슨해짐 slackening, looseness, 게으름, 나태 sloth, 속임 deceit, 사기 fraud. 이 다양한 의미 가운데 어는 것이 동사 어근과 연관되어 있는지, 그리고 하나 이상의 동사 어근이 관련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수세기 동안 논란이 되어 왔다. BDB는 라마(hm;r; , 7411)를 세 개의 별개의 어근으로 분류한다. KB와 랍비 학자들은 두 개로 구분한다. 원래의 아카드어 동족어를 근거로 하는 KB가옳다.
'레미야'(느슨해짐 slackening, looseness, 나태 sloth)는 렘 48:10, 호 7:16, 시 78:57, 잠 10:4, 잠 12:24, 27, 잠 19:15에서 나온다. "게으름이 사람으로 깊이 잠들게 하나니"(잠 19:15)에서 사용된 이 단어는 아카드어 라무(ramu)와 동족어인 라마(hm;r; , 7411)에서 파생한다. 여기서 라무(ramu)의 'u'는 '늦추다, 풀다'를 뜻하는 모음이다.
욥 13:7, 욥 27:4, 시 32:2, 시 52:4, 시 120:2-3, 미 6:12에 나오는 '레미야'는 '속임', '사기', '기만'을 뜻한다. 미 6:12의 "그 거민들은 거짓을 말하니 혀가 입에서 궤사하도다"에서 사용된 '레미야'는 '던지다' to throw를 의미하는 모음 'i'를 지닌 아카드어 라무(ramu)와 동족어인 라마(hm;r; , 7411, 미혹시키다, 기만하다)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비록 KB는 이 두 명사가 '풀다' to loose를 의미하는 라마[hm;r; , 7411]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고 있지만 우리는 이것을 오류라고 생각한다). 두 개의 '레미야' 어형의 의미들 사이에 심리학적 연관성이나 어의학적 관련성은 없다-이 두 단어들은 동일한 발음과 철자 때문에 혼동되어 왔을 뿐이다. - W. White.] (p. 1343*).
[동의어] (관련성구)
#n<jo(2612, 호네프)
불경(스러움), 사악
호네프(명남)는 하네프(#nEj: , 2610: 더럽혀지다, 속되다, 불경스럽다)에서 유래했으며, '신성모독, 속됨, 불경(스러움), 사악'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사 32:6에 한번 나온다: "이는 어리석은 자는 어리석은 것을 말하며 그 마음에 불의를 품어 간사를 행하며 패역한 말로 여호와를 거스리며 주린 자의 심령을 비게 하며 목마른 자의 마시는 것을 없어지게 함이며". 여기서 호네프는 불경스러운 일로서 '사악'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참조: HELOT; Gesenius).
[동의어] (관련성구)
[r'(7451, 라)
나쁜, 악한, 악, 악한 것
1. 라(형용사)는 라아([['r: , 7489)에서 유래했으며, '나쁜, 해로운 bad, 악한 evil'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아래서 취급하는 명사 라와 함께 약 666회 나온다.
형용사 라([r' , 7451)는 이 형용사와 관련된 명사들을 수식하여 그 명사의 특성이나 해로운 행동을 나타내 준다. 명사는 가치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거나 유익한 역할을 할 수 없는 사물이나 사람의 자질 부족 혹은 열등한 자질을나타낼 수 있다.
세속적인 의미에서 나쁜 품질에 대한 많은 실례가 있다. 첫째로 바로왕의 꿈에 나타난 보기 흉한 야윈 소(창 41:21, 창 41:27),마시기에 부적합한 물(왕하 2:19), 사는 자가 사기에 부적합하다고 말한 상품(잠 20:14) 등이 있다. 왕하 4:41에서는 솥의 음식물에 들어 있는 어떤 해독을 언급하고 있다. 그것은 위험한 것이었으나 선지자가 곧 제거했다.
형용사 라([r' , 7451)는 사나운 짐승(레 26:6), 재앙을 가져오는 천사들(시 78:49), 기근(겔 5:16), 질병(신 7:15, 신 28:35, 신 28:59, 대하 21:19, 욥 2:7, 전 6:2)을 나타내기도 한다.
형용사 라([r' , 7451)는 사자의 말(출 33:4, 느 6:13)이나 기사(사 6:22)와 같이 재난을 가져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들을 가리키기도 한다. 사건들(전 2:17, 전 9:3)이나 시간들(날들)(창 47:9, 잠 15:15, 전 4:8)이 잘못되어 고통으로 가득찰 수도 있다. 이 형용사는 마음의 불쾌(삼상 29:7)나 마음의 슬픔(느 2:1-2, 잠 25:20)을 가리킬 수도 있다.
형용사 라([r' , 7451)은 보다 흔히 도덕적 결함, 즉 자신이나 타인을 해하는 도덕적 특성들, 혹은 좋지 않은 상태를 가리킨다. 이러한 부정적인 특성들에 대한 평가는 하나님이 하신다(잠 15:3). 이러한 하나님의 평가는 종종 "여호와의 보시기에"(in the sight of the Lord)라는 말로 표현된다. 이 표현은 대부분 역사서에 약 55회 나온다. 이 용어는 또한 약 7회 가량 토브(선한)와 대조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하나님께 순종하지 않는 사람들은 악하다(약 11회). 특히 우상 숭배로 하나님을 진노케 할 경우 그러하다(왕하 17:11 등). 몇몇 실례에서 라는 그러한 사람들의 내적 상태를 나타내는 것 같다(창 6:5, 잠 26:23, 전 9:3, 렘 3:17, 렘 7:24). 전 9:3에서 사용된 이 단어의 보다 추상적인 어감을 주목하라. 부정적인 태도들, 즉 교만(욥 35:12), 노함(잠 15:10), 반항(느 9:35, 참조: 시 64:5, 겔 13:22)도 악한(ra') 것으로 열거된다. 다른 사람에 대한 난폭한 행위도 라를 평가한다(신 17:5, 삼상 2:23, 왕상 16:7, 겔 20:44, 겔 30:12).
하나님의 반응은 무관심하거나 예측할 수 없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께서는 적절한 이유에 근거하여 악한 특징을 지닌 사람에게 심판을 위협하시고 수행하신다(스 9:13, 욥 21:30, 잠 11:21).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 대해 보다 밝은 측면이 있다. 하나님은 그의 백성에게 악으로부터 돌이키도록 권고하시며(신 13:12, 왕하 17:13, 대하 7:14, 겔 33:11, 겔 36:31, 슥 1:4) 선지자들의 주된 임무는 이러한 권고를 선언하며 백성들을 하나님에게로 되돌아오게 하는 것이라고 말씀하신다(렘 23:22). 지혜자는 순종하는 사람은 라에서 자유할 것이라고 약속한다(전 8:5). 여기서도 역시 악한 일로부터 멀리하는 방법에 대한 충고가 제시되어 있다(시 141:4, 잠 4:14, 전 8:3).(G. H. Livingston)
2. 라(명남)는 라아([['r: , 7489)에서 유래했으며, '나쁨, 나쁜 것, 해로운 것 bad, 악, 해악, 악한 것 evil, 불행, 해, 고난, 재난, 참화 misery, injury, calamity'를 의미한다.
명사 라([r' , 7451)는 종종 도덕적 스펙트럼의 양극으로서 토브(선)와 대조적으로 제시된다. 때로는 샬롬(평화)이 라와 반대되는 것으로 말해진다. 이 명사는 또한 그의(하나님의) 보시기에 용납될 수 없는 상태나 행동을 정의된다(렘 52:2, 말 2:17, 참조: 느 9:28).
이 명사의 순전하게 세속적인 의미로 출발해 보건대, 라는 육체적 상해(렘 39:12), 혹은 고통의 때(암 6:3과 유명한 구절인 사 45:7 '나는 번영도 가져오고 재앙도 창조하나니', NIV; "나는 평안도 짓고 환난도 창조하나니", 한글개역)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 이 명사는 말로나(시 41:3, 시 73:8, 시 109:20), 행동으로나(미 2:1, 미 7:3), 부적절한 희생 제물을 드림으로(말 1:8) 다른 사람에 대한 비윤리적 혹은 비도덕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명사 라([r' , 7451)는 2회 내적인 상태(시 7:9, 잠 12:21, '사악')을 나타내는 추상 명사로 사용된다. 그러나 하나님이나 인간을 향한 내적인 태도를 기술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된다. 사람은 라를 궁리하거나, 바라거나, 사랑하거나, 즐거워할 수 있다(시 52:3, 잠 2:14, 잠 6:14, 잠 12:20). 혹은 사람은 라에 대해 냉담할 수도 있다(시 36:4, "악을 싫어하지', 참조: 잠 28:4).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하기를 거부하는 것도 라일 수 있다(느 9:35). 이러한 거부는 악한 행위에 완전히 복종하는 결과를 가져온다(왕하 21:9, 대하 33:9, 잠 1:16,사 59:7).
삶의 방식이 라([r' , 7451)로 특징 지워지는 사람은, 만일 그가 계속하여 라에 머물러 있다면 그 미래는 침울할 것이다. 하나님은이런 사람들을 적대하시며(사 31:2) 이런 사람들에게 형벌을 선언하셨다(미 1:12). 삶 그 자체도 이런 사람들에게 적대적이다(신 31:29, 욥 2:10, 욥 30:26, 시 54:5, 시 140:11-12, 잠 13:17, 잠 14:22, 전 8:9).
악한 사람을 그대로 내버려두면 그는 소생할 기회가 없다. 그러나 악인의 심판자가 되시는 하나님은 또한 악인에게 그 길을바꾸라고 요구하는 분이시기도 하다. 그것은 인간 편에서의 철저한 행동이어야 한다(시 34:14, 시 37:27, 잠 3:7, 암 5:14-15, 슥 1:4). 이것은 신명기에서 약 10회 악을 "제거하는 것"("purge" RSV)으로 언급된 법률적 방법보다 훨씬 더 유익한 방법이다. 하나님은 인간이 라로부터 돌이킬 때 구원하는 사건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약속한다(욥 5:19, 시 121:7, 잠 19:23). 이 약속에 이러한 구원은 삶의 실제적인 경험이라는 확신이 수반되며(시 10:6, 시 23:4), 삶의 실제적 경험은 헌신과 결합될 수 있다(시 119:101, 렘 42:6). '라'로부터 자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조언이 있다. 사람은 '라'를 멀리하라는 말을 듣는다(잠 6:24, 사 56:2, 렘 7:6). '라'를 멀리하는 것에는 '라'를 미워한 강한태도가 포함될 수 있다(시 97:10, 잠 8:13, 암 5:15). 무엇보다도 우상으로 하나님을 진노케 하지 말라(렘 25:7).(G. H. Livingston)
(참조: BDB; Gesenius; TW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