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교하다
!Wr[;(6175, 아룸)
교활한, 간교한, 영리한, 슬기로운
아룸(형용사)은 아람(!r'[; , 6191)에서 유래했으며, '교활한, 간교한, 영리한, 현명한, 슬기로운'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11회 나온다.
(a) 아룸은 '영리한, 현명한, 슬기로운'이란 의미로 사용되었다.
슬기로운 자는 자기의 지식을 자랑하지 않으며(잠 12:23), 모욕을 참으며(잠 12:16), 지식으로 행하며(잠 14:8), 그가 가고 있는 곳을 바라보며(잠 14:15), 위험을 알아채고 적절하게 처신하며(잠 22:3 = 잠 27:12) 지식으로 관을 쓴다(잠 14:18).
(b) 아룸은 '교활한, 간교한'이란 의미로 사용되었다.
창 3:1에서 "여호와 하나님의 지으신 들짐승 중에 뱀이 가장 [간교하더라]"고 하였다. 뱀의 "악의에 찬 슬기"(D. Kidner)는 창 2:25에서 언어유희에 의해 아담과 하와의 벌거벗은 무사기함과 대조된다. 이 간교한 뱀(사탄)은 이 무사기한 하와에게 와서 하나님께 불복종하도록 유혹했다.
욥기에서 "간교한 자"에 대해 언급한다.
욥 3:1, "그 후에 욥이 입을 열어 자기의 생일을 저주하니라".
욥 5:12, "하나님은 궤휼한 자의 계교를 파하사 그 손으로 하는 일을 이루지 못하게 하시며".
(참조: BDB; TWOT).
[참고 - 아룸. 교활한 crafty, 신중한 prudent, 음흉한 subtle. 형용사 아룸은 '신중한' prudent으로 번역될 때긍정적인 덕을 나타낸다. 신중한(분별있는) 사람은 자기의 지식을 자랑하지 않으며(잠 12:23), 모욕을 참으며(잠 12:16), 지식으로 행하며(잠 14:8), 그가 가고 있는 곳을 바라보며(잠 14:15), 위험을 알아채고 적절하게 처신하며(잠 22:3=27:12) 지식으로 관을 쓴다(잠 14:18).
이 형용사는 '교활한'으로 번역될 때 부정적이다(욥 5:12, 욥 15:5을 보라). 아룸이 이러한 부정적인 어감으로 사용된 용례 중에서 가장 기억할만한 것은 물론 창 3:1이다. "여호와 하나님의 지으신 들짐승 중에 뱀이 가장 '간교하더라'". 뱀의 '악의에 찬 슬기'(D. Kidner, Genesis, Chicago: Inter Varsity, p. 67)는 창 2:25에서 언어 유희에 의해 아담과 하와의 벌거벗은 무사기함과 대조된다(아룸 '교활함'과 아룸민 '벌거승이', 참조, U. Cassuto, Genesis, Ⅰ, p. 143). 이러한 초기 구절을 고려해 볼 때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하신 다음의 말씀은 더욱 놀랍다. "뱀같이 지혜롭고(phronimos) 비둘기 같이 순결하라"(마 10:16, NASB). - R. B. Allen.] (p 1125*).
[동의어] (관련성구)
!k;j;(2450, 하캄)
지혜로운, 현명한 wise
하캄(형용사)은 하캄(!k'j; , 2449: 지혜롭다)에서 유래했으며, '지혜로운, 현명한, 총명한, 슬기로운'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약 140회 나온다.
하캄은 현명한 자를 묘사하는데 있어서 호크마의 용법을 반영하고 있다. 현명한 자는 기술자(성소와 성전 기물의 기술자, 출 35:10), 금장색(렘 10:9)과 같이 여러 종류의 전문적인 일에서 기술을 가진 자다. 지혜로운 자는 국사(왕상 5:12)를 경영하는 방법을 알고 있으며 또한 영민한 자이다(예: 솔로몬 앞에서 어려운 문제를 처리한 드고아의 지혜로운 여인, 삼하 14:2). 또한 이 단어의 복수는 학식있는 자들과 영민한 자들, 즉 애굽(창 41:8)과 바벨론(사 44:28)과 바사(에 6:13)와 같은 여러 나라의 점성가들과 마술사들을 가리킨다. 신중함은 왕에 대한 지혜로운 자의 자세(잠 16:14),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신중함(신4:6), 혹은 하나님의 뜻을 무시하는 신중함의 결여(호 13:13)를 나타내고 있다. 지혜로운 자는 두개의 다른 직무의 기능과 조화하여 지혜를 사용하는 세번째의 직무를 구성한다(렘 18:18). 따라서 지혜로운 자는 자기 자신의 경험과 관찰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계시에 근거한 실질적인 충고를 준다.(L. Goldberg).
(참조: BDB; TWOT; HELOT).
[동의어] (관련성구)
hm;r]mi(4820, 미르마)
속임, 기만, 배반
미르마(명여)는 라마(hm;r; , 7411: 기만하다, 속이다, 배반하다)에서 유래했으며, '속임, 기만, 변절, 배반'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약 40회 나오며, 시편에서 가장 자주 사용된다.
미르마는 야곱이 에서에게 행한 사기를 기술하는 창 27:35에서 최초로 나온다: "이삭이 가로되 네 아우가 간교하게 와서 네 복을 빼앗았도다". 미르마는 특히 배반하는 말이나 사람을 속이는 말에 대해 사용된다(창 34:13, 시 10:7, 시 17:1, 시 24:4 등).
미르마는 또한 거짓 저울에 대해 사용된다: "거짓 저울로 속이며"(암 8:5).
렘 9:6에서는 미르마의 흥미로운 용법이 나온다:"압제 위에 압제를 쌓고 거짓 위에 거짓을 쌓는다". 구약성경은 분명히 하기를속이는 말은 하나님에 대한 가장 가증스러운 범죄 중의 하나라고 한다. 이 어근은 시편에서 의인의 기도와 찬양은 거짓이 없다는 것을 확실시 할 때 반복 사용된다. 이것은 하나님을 향한 진실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참조: TWOT).
[동의어] (관련성구)
hm;r]T;(8649, 토르마)
배반, 속임
1. 토르마는 라마(hm;r; , 7411)에서 유래했으며, '배반, 변절 treachery'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삿 9:31에서 1회 나온다: "사자를 아비멜렉에게 가만히 보내어 가로되 보소서 에벳의 아들 가알과 그 형제가 세겜에 이르러 성읍 무리를 충동하여 당신을 대적하게 하나니".
2. 타르미트는 라마(hm;r; , 7411)에서 유래했으며, '속임 deceitfulness'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5회 나온다(시 119:118, 렘 8:5, 렘 14:14, 렘 23:26, 습 3:13).
(참조: B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