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원어사전 구약 - "가 보다"

 

가 보다

a/B(935, )

들어오(), 가다, 오다

 

(동사)는 기본어근이며, '들어오(), 가다, 오다'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약 2,560회 나오며, 칼형, 히필형, 호팔형으로 사용되었다.

 

(a/B , 935)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공간상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들어가다'라는 의미는 7:7에 나오는데, 여기에는 노아와 그의 가족이 방주로 "들어갔다"고 언급되어 있다.

이 동사의 사역형 어간은 '들어가게 하다', 혹은 '데리고 들어오다(6:19, 한글개역 - "이끌어 들여")', 혹은 '이끌어 오다, 가져오다'(2:19, 이 단어의 최초의 용례)를 의미한다.

이 동사는 10:19'네가 소돔까지 갈 때'(KJV; "소돔을 지나" - 한글개역) 어구에서 더욱 독립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흥미롭게도 이 동사는 '오다'라는 의미와 '돌아오다'라는 의미 둘 다로 사용될 수 있다. 아브라함과 그의 가족은 가나안 땅으로 "왔다"(한글개역 - 땅에 "들어 갔다", 12:5).

한편 28:6에는 하나님께서 (아침에 일하러) '나가고' (저녁에 집으로) '돌아오는' 경건한 자들을 축복하셨다고 언급되어 있다. 때때로 이 단어는 해가 '지는 것'을 나타낸다(15:13).

이 단어는 '조상에게 돌아간다'(15:15)는 의미에서 죽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다른 특수한 용례는 '아내에게 들어가는 것' 혹은 '동거'(6:4)를 의미한다.

이 단어는 또한 시간의 흐름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지자들은 '다가오는' 심판의 날에 대해 말한다(삼상 2:31).

마지막으로 이 동사는 거짓 선지자가 그 말대로 이적과 같은 그런 사건을 '이루는' 것에 대해 사용되기도 하였다(13:2).

 

하나님이 '오신다'는 말에는 세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로, 하나님은 천사(6:11)나 다른 육신을 입은 존재(참조, 18:14)를 통해 '오신다', 그는 꿈(20:3)이나 다른 실제적인 현현(20:20)을 통하여 인간에서 '나타나시어' 말씀하신다. 예를 들어 출애굽 동안에 하나님은 백성들 앞에 가는 구름과 불 속에서 '나타나셨다'(19:9).

둘째로, 하나님께서는 신실한 자들이 그에게 합당하게 예배 드리는 곳이면 어디든지, 그리고 언제든지 그들에게 '오신다'고 약속하신다(20:24). 블레셋인들은 언약궤가 이스라엘 진에 들어왔을 때 하나님께서 그곳에 '오셨다'고 느꼈다(삼상 4:7). 공식적인 예배와 관련된 용법은 24:7에 나온다. 여기에는 영광의 왕이 예루살렘으로 '들어가실' 때 시온의 문이 열리리라고 언급되어 있다. 또한 여호와께서 43:2에 묘사되어 있는 새 성전으로 '돌아 오실' 것이다.

셋째로, 하나님의 '오심'에 대한 일단의 예언적 묘사가 있다. 이 주제는 하나님께서 전쟁에서 자기 백성들을 도우시려고 '오심'에 대한 찬송(참조, 33:2)에서기원한 것 같다. 시편(: 50:3)과 예언서(: 30:27)에는 여호와께서 심판과 축복으로 '오신다'고 언급되어 있다 - 고대 근동 신화에서 차용한 시적인 어투이다(참조, 1:4).

 

(a/B , 935)는 또한 메시야의 '오심'을 언급하는데 사용된다. 9:9에는 메시야 왕께서 나귀새끼를 타고 '오신다'고 묘사되어 있다. 어떤 구절은 특별히 어려운 문제를 제기하는데, 실로가 오시기까지 홀이 유다를 떠나지 아니하리라고 예언하는 49:10이 그러하다. 또 다른 난해한 구절은 21:27이다: "마땅히 얻을 자가 이르면 그에게 주리라". 동사 보를사용한 매우 유명한 예언은 인자의 '도래'에 관한 것이다(7:13). 끝으로 마지막 날의 '도래'(8:2)와 여호와의 날의 '도래'(13:6)가 있다(넬슨의 구약해설).

(a/B , 935)는 공동체와 함께 기도하고 희생제사를 드리려고 성소에 오는 사람에 대해 사용되었다(12:5, 31:11, 삼하 7:18, 30:29, 7:2, 7:10, 5:7, H8, 42:2, H3). 제사장들이 이 거룩한 영역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특별한 규정을 이행해야 했는데 반해(28:29이하, 29:30 ), 그곳에 들어가는 모든 사람들은 의로운 행동을 나타내야 한다(15, 24). 이방인들도 기도하러 올 수 있었으나(왕상 8:41), 환관은 제의 공동체에서 제외되었다(23:1, H2). 백성들이 성소에 올때, 그들은 제사장들에게도 갔다(17:9). 그들은 또한 여호와께 물으러 선지자에게 갔다(: 왕상 14:3, 왕상 14:5, 왕하 4:42, 14:4, 14:7).

(참조: E. A. Mart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