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원어사전 구약 -"간역자"

  

간역자

cg'n:(5065, 나가스)

강제로 시키다, 강제로 거두다, 압박(억압)하다

 

나가스(동사)는 기본어근이며, '강요하다, 강제로(억지로) 시키다, 억지로 거두다, 압박(억압)하다'를 의미하며, 지불이나 노동의 요구를 강압적으로 행사하는 것을 나타낸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칼형과 니팔형으로만 사용되었다.

 

1. 칼형에서

(a) '강제로(억지로) 시키다'. 58:3에서 억지로 시키는 것을 묘사한다: "이르기를 우리가 금식하되 주께서 보지 아니하심은 어찜이오며 우리가 마음을 괴롭게 하되 주께서 알아주지 아니하심은 어찜이니이까 하느니라 보라 너희가 금식하는 날에 오락을 찾아 얻으며 온갖 일을 시키는도다".

 

(b) '강제로(억지로) 거두거나 받아내다(늑봉하다)'. 왕하 23:35에서 세금을 억지로 거두는 것을 묘사한다.

15:2-3에서는 빚을 강제로 받아내지 말라고 한다.

 

(c) 분사 곧 실명사로 사용되었다.

'감독자'(공사 감독 tack-master)(3:7, 5:6, 5:10, 5:13, 5:14). 공사 감독들은 이스라엘인에게 짚은 공급해 주지 않고서 작업량은 그대로 유지하게 하라는 명을 받았다. 그들은 이스라엘인들이 바로의 명령을 이행하지 못했을 때 이스라엘인 '십장들'을 매질하였다. 3:8에서도 감독자에 대해 언급한다.

'모는 자, 운전자 driver'. 39:7에서 나귀를 '모는 자'에 대해 언급한다.

'통치자 ruler'. 3:12에서 전제 정치의 군주에 대해 언급한다: "내 백성을 학대하는 자는 아이요 관할하는 자는 부녀라 나의 백성이여 너의 인도자가 너를 유혹하여 너의 다닐 길을 훼파하느니라".

그러나 10:4에서는 좋은 의미의 통치자를 가리킨다: "모퉁이 돌이 그에게로서, 말뚝이 그에게로서, 싸우는 활이 그에게로서, 권세 잡은 자가 다 일제히 그에게로서 나와서".

'외국 압제자, 폭군, 전제군주'(9:3, 14:2, 14:4, 9:8). 메시야가 이와 같은 압제자의 모든 압제를 제거하실 것이다(9:4, 9:8). 그러나 그는 구원을 성취하기 위해 그러한 압제를 친히 묵묵히 견디어 내실 것이다(53:7, 참조: 3:7). 메시야의 고난으로 인하여 경건한 자가 다스리는 자로 높여질 것이다(9:8, 14:2).

'통치자, '. 60:17에서 ""를 비유적으로 인격화하고 있다: "내가 금을 가져 놋을 대신하며 은을 가져 철을 대신하며 놋으로 나무를 대신하며 철로 돌을 대신하며 화평을 세워 관원을 삼으며 의를 세워 감독을 삼으리니".

'강제 징수자'. 11:20에서 공물을 강제로 거두는 자를 묘사한다: "그 위를 이을 자가 토색하는 자로 그 나라의 아름다운 곳으로 두루 다니게 할 것이나 그는 분노함이나 싸움이 없이 몇 날이 못되어 망할 것이요".

 

2. 니팔형에서 '압박을 받다, 학대를 받다, 압도되다'를 의미한다.

삼상 13:6에서 압도되는 것, 삼상 14:243:5에서는 학대를 받는 것을 나타낸다.

53:7에서는 하나님의 고난 받는 종이 거칠게, 억압적으로 취급을 받는 것을 묘사한다: "그가 곤욕을 당하여 괴로울 때에도 그 입을 열지 아니하였음이여 마치 도수장으로 끌려가는 어린 양과 털 깎는 자 앞에 잠잠한 양 같이 그 입을 열지 아니하였도다".

3:5에서 백성이 서로 학대하는 것을 언급한다: "백성이 서로 학대하며 각기 이웃을 잔해하며 아이가 노인에게, 비천한 자가 존귀한 자에게 교만할 것이며".

(참조: BDB; TWOT).

 

[참고 - 나가스(cg'n: , 5065). 강요하다 exact, 요구하는 압력을 가하다 exert demanding pressure.(ASVRSV삼상 13:6, 60:17, 11:20이외에서는 동일하게 번역한다).

이 어근은 지불이나 노동의 요구를 강압적으로 행사하는 것을 나타낸다. 유사한 동의어로 나샤(av;n: , 5378)가 있다. 분사(십장, 노예감독)는 강제 노역자들의 우두머리인 사르마스(1:11)와 다소 병행된다.

이 어근의 본질적 의미는 3:7에서 보여지는데, 여기서는 애굽인 '감독자들' overseers(한글개역 "간역자")을 의미한다. 그들은 이스라엘인에게 짚은 공급해주지 않고서 작업량은 그대로 유지하게 하라는 명을 받았다(3:10, 13). 그들은 이스라엘인들이 바로의 명령을 이행하지 못했을 때 이스라엘인 '십장들' foremen을 매질하였다. 유사한 '압박'이 강제로 거두어들인(참조, 11:20) 공물(14:4, 왕하 23:35)에서도 보여진다. '우두머리' boss도 똑같은 요구를 할 수 있다(3:18, 39:7). 유다의 아이들이 그러한 역할(학대하는 자의 역할)을 맡을 것이다(3:12).

메시야가 이와 같은 모든 압제를 제거하실 것이다(9:4 [H3], 9:8). 그러나 그는 구원을 성취하기 위해 그러한 압제를 친히 묵묵히 견디어 내실 것이다(53:7, 참조, 3:7). 메시야의 고난으로 인하여 경건한 자가 다스리는 자로 높여질 것이다(그들의 대적들에게는 압제자가 됨, KD, 9:8, 14:2). 그들은 화평과 의를 번갈아 이룰 것이다(60:17). 안식년 율법은 채권자가 안식년에 이방인을 제외한 참조, 3:5) 백성들에게 채무 상환을 요구하지 못하게 규정하고 있다(KD, 15:2-3). - L. J. Coppes.] (p.907*).

 

 

[동의어] (관련성구)

rfevo(7860, 쇼테르)

관원, 관리

 

쇼테르(명남)'관원, 관리 official, officer'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25회 나온다.

 

(a) 쇼테르는 하급관리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관리로 알려진 많은 사람들과는 달리 아마도 본래 서기 과목의 교육을 받았을 것이다.

쇼테르는 정부와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일하는 관리의 뜻으로 널리 사용된 일반용어이다. 이 단어는 히브리인들에게 강제 노역을 시킨 애굽 감독관들 예하의 유대인 하급 관리를 지칭하기도 하는데(5:6, 5:10), 이들은 일의 양과 질 모두를 책임져야 했다(5:14-19).

 

(b) 광야 유랑기에(11:16), 쇼테르는 여호와께서 통치의 짐을 분담하도록 모세에게 준 이스라엘 70인 장로 예하의 관리에 대해 사용되었다(1:15). 이스라엘 초기의 전 시기에 걸쳐 때로는 시민 행정에서(31:28) 혹은 군사 업무와 관련된 일에서(20:5 이하, 1:10, 3:2) 그들은 특별히 장로들에 예속되어 있었던 것 같다.

 

(c) 쇼테르의 직책은 통일왕국시대와 분열왕국시대에도 계속되었음이 분명하며 이때 그들은 군사 업무에 관여하였고(대상 27:1, 대하 26:11) 레위인으로서 법적, 종교적 문제에 관여하였다(대상 23:4, 대상 26:29, 대하 19:11, 대하 34:13)(R. D. Patterson).

(참조: BDB).

 

[쇼테르(rfevo , 7860) 공무원, 관리 official, officer. 이 명사는 셈어족 도처에서 산출되는 한 어근의 분사형이다(참조, 아카드어 사타루: '글쓰다' to write, 아랍어 사타라: '글쓰다' to write, '다스리다' to rule, 시트룸(sitrun): ", ' row, '' line, 아람어/시리아어 세타라: '문서' document, 사바어 str: '명문' inscription). 이 단어는 하급 관리에 대해 사용된다. 관리로 알려진 기타 많은 사람들과는 달리 이들은 어근이 시사해주듯 아마 본래 서기 과목의 교육을 받았을 것이다.

 

쇼테르는 정부와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일하는 관리의 뜻으로 널리 사용된 일반 용어이다. 이 단어는 히브리인들에게 강제 노역을 시킨 애굽 감독관들 예하의 유대인 하급 관리를 지칭하기도 하는데(5:6, 10), 이들은 일의 양과 질 모두를 책임져야 했다(5:14-19).

광야 유랑기에(11:16), 이 단어는 여호와께서 통치의 짐을 분담하도록 모세에게 준 이스라엘 70인 장로 예하의 속관들을 지칭한다(1:15). 이스라엘 초기의 전 시기에 걸쳐 때로는 시민 행정에서(31:28) 혹은 군사 업무와 관련된 일에서(20:5이하, 1:10, 3:2) 그들은 특별히 장로들에 예속되어 있었던 것 같다.

 

이 직책은 통일 왕국 시대와 분열 왕국 시대에도 계속되었음이 분명하며 이 때 그들은 군사 업무에 관여하였고(대상 27:1, 대하 26:11) 레위인으로서 법적, 종교적 문제에 관여하였다(대상 23:4, 대상 26:29, 대하 19:11, 대하 34:13). - R. D. Patterson.] (p.1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