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원어사전 구약 -"각처"

  

각처

lKo(3605, )

모두, 전체, 완전함

 

(명남)은 칼랄(ll'K; , 3634: 완전하게 하다)에서 유래했으며, '모두 all, 전체, 완전함 the whole'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5,000회 이상 나온다.

 

[참고 - (lKo , 3605, "모두" all)5,000회 이상 사용되며 이 불변사를 제외하고 동사와 파생어들은 21회 사용되는데 이들 중 8회는 에스겔서에서 사용된다. 이 단어 어근의 의미는 "완전하게 되다, 온전하게 되다"를 뜻한다. 이 단어의 동사는 2회 쓰이는 것으로 보아서 아마도 명사(형용)에서 파생된 듯하며, 이 두개의 단어는 27:4, 11에서 사용된다. 이 두 동사 용법은 "아름다움"과 연관되어 있다. "완전한"이란 번역은 그러한 연관성을 지닐 때 오직 나타날 뿐이다(에스겔에서 5[두로와 관련하여 4], 2:1550:2에서 각각 1회씩, 이 두 구절들이 모두 "완전한 아름다움"으로 예루살렘을 언급한다).

 

((lKo , 3605). 전부 all, 어느 ...이나 다 every, 어떤 any, 전체의 whole, 어떤 것도 ...아인none.

이 단어는 매우 일반적인 불변화사로 약 5,400회 사용된다. 이들 중 800회를 제외하고는 모든 단어는 뒤에 오는 단어를 수반하여 소유격 관계에 있으며, 따라서 다음을 의미한다. "어떤 것의 전체". 뒤에 오는 단어가 복수일 경우에는 "모든"(all)이라고 번역되고, 뒤에 단수가 따라오고 관사가 없을 경우에는 "어느 ...이나 다"(every)로 번역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로 되어 있다. 이 단어는 또한 이 단어에 부착되는 접미사를 가질 수 있다. "그것의 전부, 그것의 모두". 이와 같은 특별한 구성도 주어진 명사를 따르게 되어 전체적인 면을 강조하게된다(삼하 2:9). 이 단어는 이사야가 온 백성의 타락을 표현할 때와 같이 명사와 함께 이런 방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다 뇌물을 사랑하며"(1:23, 참조, 9:17[H16]). 어떤 문맥에서 이 단어는 "...의 모든 종류" all kinds of, "...의 모든 부류" all sorts of라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엘리에셀은 "그 주인의 모든 좋은 것을" "여러 종류의 좋은 것"을 취하였다(24:10, 참조, 19:23).

(lKo , 3605)은 또한 그 자체 혹은 독립적으로 쓰여져 "모든 것"이란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 "모든" all이라는 의미는 문맥에서 얻지 않으면 안된다(참조, 9:3). 관사와 더불어 사용될 때, 이 단어는 방금 언급한 것을 가리키거나(1:9 ) 혹은 넓은 의미에서 피조물 전체를 가리키게 된다. 103:19, 145:951:19과 같은 성구들은 만물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의 개념을 나타낼 때 이런 구문을 사용한다. - J. N. Oswalt.] (p743-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