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조하다
@/aM;xi(6774, 침마온)
메마른 땅
침마온(명남)은 차메(amex; , 6770)에서 유래했으며, '메마른(건조한) 땅'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3회 나온다.
신 8:15에서 광야의 특성을 묘사하는데 사용되었다. 이스라엘 백성이 통과한 광야는 '메마른 땅'이었다.
시 107:33에서는 "샘으로 마른 땅이 되게 하시며"라고 하나님을 찬양한다. 시 107:33 이하는 땅과 사람에 대한 하나님의 무한하신 권능을 찬양하는 지혜시이다.
사 35:7에서는 "메마른 땅이 변하여 원천이 될 것"이라고 예언한다. 이것은 속량으로 말미암은 복된 변화, 곧 이스라엘의 포로에서 속량과 해방에서 메시야 시대의 지복까지 바라는 언급이다.
(참조: BDB; HELOT).
[동의어] (관련성구)
hj;lem](4420, 멜레하)
염분 있음, 염분이 있는 땅
멜레하(명여)는 말라흐(jl'm; , 4414)에서 유래했으며, '염분 있음, 염분이 있는 땅'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3회 나온다(욥 39:6, 시 107:34, 렘 17:6).
(참조: Gesenius).
[동의어] (관련성구)
hY:xi(6723, 치야)
건조, 가뭄, 메마름, 메마른 곳
치야(명여)는 사용되지 않는 어근 차야(hy:x;: 건조하다)에서 유래했으며, '건조, 메마름, 가뭄, 메마른 곳'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16회 나온다.
욥 24:19에서만 '가뭄'에 대해 사용되었으며, 나머지 구절에서는 '메마름'의 땅(호 2:3, 렘 2:6, 렘 50:12, 렘 51:43, 사 41:18, 사 53:2, 시 107:35, 겔 19:13, 욜 2:20, 시 63:1), 메마른 곳 = 광야(사 35:1, 습 2:13, 욥 30:2, 시 78:17, 시 105:41).
(참조: Gesenius; B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