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수하다
tr,m,v]mi(4931, 미쉬메레트)
경계, 주의, 망봄, 감시, 지킴, 책무, 명령
미쉬메레트(명여)는 미쉬마르(rm;v]mi , 4929)의 여성형이며, '경계, 주의, 망봄, 감시, 지킴, 책임, 직무, 직분, 명령'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78회 나온다.
(a) 이 단어는 감시(삼하 20:3), 보호(삼상 22:23), 주의(왕하 11:5-7), 파수(대), 감시(대)(비유, 사 21:8, 합 2:1, 느 7:3, 대상 9:23)에 대해 사용되었다.
(b) 이 단어는 유월절 어린 양(출 12:6), 만나(출 16:32-34), 붉은 암 송아지의 재(민 19:9) 등과 같이 간직하거나 보존하는 것을 묘사한다.
(c) 이 단어는 수행해야 되는 '책무' 혹은 '봉사(임무)'를 묘사한다(민 1:53, 민 3:7-8, 민 3:28, 민 3:31, 민 8:26, 민 18:3, 대하 7:6, 대하 8:14 등).
(d) 이 단어는 '명령'에 대해 사용되었다(신 11:1, 창 26:5, 왕상 2:3, 수 22:3, 말 3:14, 레 18:30, 레 22:9, 민 9:19, 신 9:23).
(참조: BDB; TWOT).
[동의어] (관련성구)
!ynIy:(3241, 야님)
야님 Janjm(지)
야님은 눔(!Wn , 5123)에서 유래했으며, '잠듦'을 의미한다.
이곳은 헤브론 산지에 있는 유다 지파의 한 성읍이다(수 15:53).
[동의어] (관련성구)
rx'n:(5341, 나차르)
지키다, 보호하다, 망보다
나차르(동사)는 기본어근이며, '지키다, 보호하다, 망을 보다, 경계하다'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약 60회 나오며, 칼형으로만 사용되었다.
보호 받는 대상들을 검토해보면 이 동사의 적절한 의미의 범위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첫째 농업시설이나 군사시설 같은 유형적인 것들(예: 포도원, 욥 27:18, 무화과 나무, 잠 27:18, 요새, 나 2:2)이 보호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자들은 경비원이라고 불리운다(칼능동 복수분사 노체림, 렘 31:6, 왕하 17:9, 왕하 18:8). 하나님 자신도 그의 포도원인 이스라엘과 일반적인 모든 사람을 지키는 자나 경비원으로 간주된다(사 27:3, 욥 7:20).
둘째로, 윤리적인 의미에서 입(잠 13:3, 시 141:3), 인간의 삶의 길(잠 16:17), 마음(잠 4:23), 및 혀(시 34:13)를 지켜야 한다.
셋째, '충실하게 지킨다'는 개념이 있다. 이 개념은 일반적으로 하나님의 언약이나 율법을 지킨다는 것에 모아진다. 하나님은 성실한 사랑을 천대까지 베푸시는 분이시다(출 34:7). 그러나 필멸의 인간도 언약(신 33:9, 시 25:10)과 하나님의 가르침이나 율법(시 78:7, 시 105:45, 시 119:2, 시 119:22, 시 119:33, 시 119:34, 시 119:56, 시 119:69, 시 119:100, 시 119:115, 시 119:129, 시 119:145)을 지킬 책임이 있다. 심지어 부모의 명령(잠 6:20, 잠 28:7)과 지혜의 훈계(잠 3:1, 잠 3:21, 잠 4:13, 잠 5:2)도 마찬가지로 충실하게 지켜야 한다.
하나님은 위험에서 지켜주시는 분으로 언급되며, 인간의 생명(시 25:20, 시 40:12, 잠 24:12), 왕(시 61:8), 평화(사 26:3), 이스라엘(신 32:10, 사 42:6, 사 49:8), 성실한 자들과 성실한 자들의 생명(시 31:23, 잠 2:8), 지식(잠 22:12)을 보호하시는 분으로 언급된다. 하나님은 또한 이 세대(시 12:8),환난(시 32:7), 악인의 비밀한 꾀(음모)(시 64:2), 강포한 자들(시 140:2, 시 140:5)로부터 의인들을 보호하신다.
지혜는 지혜를 저버리지 아니하는 자들을 지켜준다(잠 4:6). 이와 같이 근신(discretion)이 자녀를 지키며(잠 2:11) 의가 행실이 정직한 자를 보호해준다(잠 13:6).
나차르는 3회 '비밀을 지키다'라는 의미에서 경계하는 것에 대해 사용된다.
사 48:6에서 이 단어는 하나님에 의해서 이전에 계시된 적이 없는 숨겨진 일들을 언급한다. 다른 두 구절들에서 그 의미는 부정적이다. 즉 패역한 이스라엘이 일을 꾸미면서(즉 미래에 대한 꿈을 꾸기 위해 우상들과 잠 자면서) 밤을 보내는 죄의 "은밀한 처소"(사 65:4)와 창녀의 은밀함이나 간교함(잠 7:10)을 언급한다.
이 단어의 또 다른 의미는 공격 받고 있는 폐쇄되거나 봉쇄된 성읍을 지킨다는 것이다. 렘 4:16에서 칼 복수 능동 분사형이 봉쇄자들을 가리키는 것 같은 한편 겔 6:12(?)과 사 1:8에서는 포위되거나 봉쇄된 성읍을 가리킨다.
요컨대 이사야가 그 종말론적 시기에 이스라엘의 회복한 지파들을 이스라엘의 보전된 자들로 부르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사 49:6). 왜냐하면 그들은 확실히 하나님의 부단한 보호와 보전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참조: W. C. KAISER; BDB).
[동의어] (관련성구)
!t's;(5640, 사탐)
막다, 메우다, 폐쇄하다, 간수하다
사탐(동사)은 기본어근이며, '막다, 메우다, 폐쇄하다, 봉쇄하다, 잠그다, 간수하다'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14회 나오며, 주로 우물, 샘, 시내를 막거나 메우는 것(창 26:15, 창 26:18, 왕하 3:19, 왕하 3:25, 대하 32:3, 대하 32:4, 대하 32:30). 말이나 이상을 간수하는 것(단 8:26, 단 12:4, 단 12:9)을 묘사한다.
느 4:7에서 "그 퇴락한 곳이 수보되어"는 '그 갈라진 틈들이 메워지게 되어'를 의미한다.
사 51:6에서 "내 속에"는 문자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곳에'(칼 수동분사) 즉 가슴속에를 의미한다.
애 3:8에서 기도를 막는 것(차단)을 의미한다: "내가 부르짖어 도움을 구하나 내 기도를 물리치시며".
겔 28:3에서 '비밀로 하고 있는 것'(칼 수동분사)을 의미한다: "네가 다니엘보다 지혜로와서 은밀한 것을 깨닫지 못할 것이 없다하고".
(참조: BDB; HELOT; TW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