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원어사전 구약 -"갈고리"

  

갈고리

sr,q,(7165, 케레스)

걸쇠, 갈고리

 

케레스(명남)는 카라스(sr'q; , 7164)에서 유래했으며, '걸쇠, 고리, 갈고리'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케레스는 출애굽기에서 6회 나오며, 성막 휘장의 가장자리에 거는 갈고리였다(26:6, 26:11, 26:33, 35:11, 36:13, 36:18).

(참조: TWOT; HELOT).

 

 

[동의어] (관련성구)

ww:(2053, 와우)

갈고리 hook

 

와우(명남)는 히브리 문자의 6번째 문자 이름이며, '갈고리 hook, 거리 못 peg, pin'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13회 나오며, 장막의 휘장을 고정시키는 은 갈고리와 금 갈고리에 대해 사용되었다(26:23, 26:27, 27:10, 27:11, 27:17, 36:36, 36:38, 38:10, 38:11, 38:12, 38:17, 38:19, 38:28).

(참조: BDB; TWOT).

 

 

[동의어] (관련성구)

j'/j(2336, 호아흐)

찔레, 가시나무, 갈고리, 족쇄

 

호아흐(명남)(a) '찔레, 가시나무(덤불)', (b) '갈고리, 고리, 족쇄, 차꼬'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11회 나온다.

(a) 호아흐는 '찔레, 가시나무'에 대해 사용되었다(왕하 14:9 = 대하 25:18, 9:6, 34:13, 31:40, 26:9, 2:2).

(b) 호아흐는 '갈고리, 족쇄'에 대해 사용되었다(40:26, 대하 33:11).

(참조: BDB; HELOT).

 

 

[동의어] (관련성구)

jj;(2397, 하흐)

갈고리, 고리

 

하흐(명남)는 호아흐(j'/j , 2336)와 어원이 동일하며, '갈고리, 고리'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78회 나오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

 

(a) 포로의 코를 꿰는 '갈고리, 고리' : 37:29 = 왕하 19:28에서 산헤립에 대한 경고는 우리가 입술을 고리로 꿴 포로들이 새겨진 앗수르의 부조를 볼 수 있듯이 실제적 관습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크다(ANEP. fig. 447 ).

19:4, 19:9에서 갈고리는 젊은 사자들이라는 비유로 유다 왕들에 대해 사용되었다.

 

(b) 장신구로서 '갈고리, 고리' : 35:22에서 모세의 명령에 따라 성막 건조를 위해 바친 예물 중에 나온다: "곧 마음에 원하는 남녀가 와서 가슴 핀과 귀고리와 가락지와 목거리와 여러가지 금품을 가져 왔으되 사람마다 여호와께 금 예물을 드렸으며". 여기서 하흐가 '코걸이'인지 '부로찌(가슴핀)'인지 확정하기 어렵다.

(참조: BDB; TWOT).

 

 

[동의어] (관련성구)

vqe/m(4170, 모케쉬)

모케쉬(명남)는 야코쉬(vqy: , 3369: 미끼를 놓다, 유혹하다)에서 유래했으며, '미끼, 유혹물, , 올가미'를 의미한다. 드라이버(G. R. Driver)는 모케쉬가 좁은 입구처럼 생긴 움직일 수 있는 윗부분, '치는 것 striker'을 가리킨다고 한다. 이 단어는 특별히 은유적인 언어로 완전히 구비된 덫이나 함정을 나타내는 것 같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약 27회 나온다.

 

(a) ', 올가미'. 3:5에서 들 짐승이나 새를 잡는 것에 대해 사용되었다. 18:5에서 사망의 '올무'에 대해, 40:24에서 짐승의 코를 꿰는 쇠고리에 대해 사용되었다.

(b) 비유적으로 '상해의 원인'에 대해 사용되었다. 10:7에서 "이 사람이 얼마나 오래 우리에게 함정이 되리이까"라고 말한다. 즉 악을 우리에게 초래하는 것을 가리킨다(23:33, 24:12, 7:16, 23:13, 8:14 ).

(참조: TWOT; Gesenius).

 

 

[동의어] (관련성구)

glez]m'(4207, 마즐레그)

쇠 갈고리

 

남성형 마즐레그는 2(삼상 2:13, 삼상 2:14), 여성형 미즐라가는 5(27:3, 38:3, 4:14, 28:17, 대하 4:16) 나오며, '쇠 갈고리'를 의미하며 희생제사용구로 사용되었다.

(참조: TWOT).

 

 

[동의어] (관련성구)

hN:xi(6793, 친나)

갈고리, 시원함, 방패

 

친나(명여)는 첸(@xe , 6791)에서 유래했으며, (a) '갈고리, 비늘 barb', (b) '시원함, 서늘함, 차가움', (c) '방패, 방어물'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23회 나오며, 그 의미가 서로 달라 서로 다른 별개의 단어인 듯하다.

 

(a) '갈고리, 비늘'.

4:2에서 사마리아 부요한 여인들이 사로잡혀 가는 것에 관해 사용되었다. 이 구절은 밧줄에 묶여 끌려가는 포로들의 모습을 새겨 놓는 앗수르의 돋음새김과 관련시킬 수 있다. 밧줄 끝에는 포로들의 코나 아랫 입술에 뚫은 구멍에 거는 갈고리가 있었다(KRV Study Bible).

 

(b) '서늘함, 시원함, 차가움'.

25:13에서 얼음의 '차가움'을 나타내며, 그것을 사자의 충성에 비한다.

 

(c) '방패'.

친나는방패들을 구별하는 경우에 '큰 방패'에 해당한다. 친나와 마겐이 구별되는 것은 두 단어가 병행되어 있는 구절에 의해 분명히 알 수 있다(왕상 10:16, 왕상 10:17, 대하 9:15, 대하 9:16, 46:3, 23:24, 38:4). 이 친나가 큰 방패인 것은 골리앗의 방패가 친나이고 그를 지키기 위해, 이 방패를 가진 자가 달려 있던 사실(삼상 17:7, 삼상 17:41)과 이 말이 26:8에서 공성작동(攻城作動)의 엄호에 씌어진 사실로도 알 수 있다. 이 큰 방패를 가진 병사는 그 공격무기로서 창을 가졌다(대상 12:8, 대상 12:24, 대하 11:12, 대하 14:8, 대하 25:5) (참조: 성서대사전).

친나는 5:12에서 여호와의 은혜를 상징하고, 91:4에서 비유적으로 여호와의 신실하심을 가리킨다.

(참조: BDB; TWOT).

 

 

[동의어] (관련성구)

tp;v;(8240, 샤파트)

갈고리, 난로()

 

1. 샤파트(명남)'갈고리 모양의 걸이 못, 갈고리'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40:43에서 1회 나온다: "현관 안에는 길이가 손바닥 넓이만한 갈고리가 사면에 박혔으며 상들에는 희생의 고기가 있더라".

 

2. 샤파트(명남)는 아마도 '난로()'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68:13에서 1회나온다: "너희가 양우리에 누울 때에는 그 날개를 은으로 입히고 그 깃을 황금으로 입힌 비둘기 같도다".

여기서 복수 셰랏타임이 사용되었으며, 한글개역에서는 "양우리"로 번역하지만, NIVcompfires(야영을 모닥불들)이라고 번역한다.

그러나 이 구절의 요지는 너희 형제들은 너와 이 땅을 지키기 위하여 전쟁터에서 고생하고 있는데 이에 반하여 너는 너의 번영의 부요와 부요 가운데 빠져 거기서 주저 앉아 있을 것이냐 이다.(참조: G. Rawlinson